후지 미치아키 |
|
심시기와 율곡철학의 성격 규정 문제 |
한국철학사연구회 |
한국 철학논집 Vol.0 No.62 |
2019 |
|
黃羲敦 |
|
선조 초년 남명 조식과 율곡 이이의 정치 인식 비교 -<戊辰封事>와 東湖問答을 중심으로 |
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|
東方學 Vol.0 No.41 |
2019 |
|
黃羲敦 |
|
사단(四端)과 칠정(七情)의 소종래(所從來)에 대한 고봉(高峯)·퇴계(退溪)·율곡(栗谷)의 인식 비교 |
(사)율곡연구원(구 사단법인 율곡학회) |
율곡학연구 Vol.38 |
2019 |
|
황준연·노평규 |
|
梅月堂 金時習에 대한 李珥의 평가 ‘心儒迹佛’에 대한 고찰-개인적 공감과 시대적 맥락을 중심으로 |
대동한문학회 |
大東漢文學 Vol.58 |
2019 |
|
黃俊淵 |
|
栗谷 李珥의 大臣論과 위기의식 - 『 經筵日記』를 중심으로 |
조선시대사학회 |
朝鮮時代史學報 Vol.0 No.88 |
2019 |
|
黃俊淵 |
|
동양의 효문화 사상에서 큰 가치인 공자의 효문화 사상을 계승한 율곡의 효문화 사상과 이를 전개한 사계의 효정… |
한국사상문화학회 |
韓國思想과 文化 Vol.96 |
2019 |
|
黃俊淵 |
|
기호 영남학파의 율곡 리통기국(理通氣局) 비교 연구 |
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|
儒學硏究 Vol.46 |
2019 |
|
황준연 |
|
景觀의 學統的 전유 - 강릉 송담서원과 신사임당의 그림 |
우리어문학회 |
우리어문연구 Vol.64 |
2019 |
|
황준연 |
|
<고산구곡가>의 구조와 창작의 의미 |
국어국문학회 |
국어국문학 Vol.0 No.186 |
2019 |
|
황준연 |
|
『성학집요』에 나타난 율곡 이이의 도통관 |
(사)율곡학회 |
율곡학연구 Vol.39 |
2019 |
|
황준연 |
|
『동호문답』에 나타난 율곡의 정명(正名) 연구 - 공자 정명(正名)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|
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|
儒學硏究 Vol.48 |
2019 |
|
황준연 |
|
『동호문답(東湖問答)』을 통해 본 안민(安民)의 양생론(養生論) 연구 |
(사)율곡연구원(구 사단법인 율곡학회) |
율곡학연구 Vol.38 |
2019 |
|